있는 척, 배운척,성공한척,능력있는 척=> 내적문제의 원인/사회문제 정책 제언18 최순실씨 사건에 대한 정치권 제언. 비리도 이런 비리가 또 있을까? 고위급 공무원은 물론, 청와대 일부 수석과 일부 장차관 그리고 최고 통수권자인 대통령이 연류및 관련되어, 나라가 온통 홍역이다. 최순실 사건 말 이다. 앞으로 21세기 정치는 올바른 건전한 종교관과 분별력이 없으면, 정치지도자의 생명이 짧을 것이다. 우리나라는 이단성에 오른 종교집단이 세계적이기 때문이다. 반대로 올바른 정치지도자들은 건정한 교단의 종교지도자를 참모를 두어,조언을 얻고, 지혜를 얻고자 하지 않는다면, 박수 받는 지도자가 되길 어려울것이다. 민주 정치의 최고봉인 의회민주정치 영국은 과거 왕권시대부터 차모중 기독교관련 지도자를 둔 이유를 참고하고 좋을 것이다. 정치와 종교는 분리원칙이지만, 분명한것은 객관적, 국민의 의식과 마음을 잃을 수 있는 소통의 길은 바.. 2016. 11. 1. 지도자와 지도력(Leader & Leadership) 우리 말에 '선생님'이라는 말이 있다. 이를 다른 말로 '스승님'라고 부르거나 사용하기도 한다. 과거에는 이 스승과 '선생님'이라는 존칭 '님'을 깍듯하게 붙였고,또 함부로 아무에게나 '선생님' '스승님'라고 부르지도 못 했다. 요즘은 "선생님"보다 "샘"이라고 줄여서 부른다. 그러나 "먼저태어난 사람"이라는 '선생'은 단순히 출생만 언급하는 것이 아니라 '인격' '학식' '덕망' 등에서 모범과 존경이 앞선 사람을 말했다. 그래서 이런 선생님들과 자신을 가르쳐 주신 '스승님'을 이렇게 말한다. "어른"이라고...... 아마도 '어른'은 먼저 낳으며,먼저 배우신 분들이 아닌가? 이 어른들이 있는 가정과 사회, 그리고 집단은 성장하고 성숙하며,아름다울 것이다. 그러나 요즘은 어른은 많으나 "책임감 있는 어른.. 2013. 8. 29. 대통령후보3인의 공통정책 [민주 경제화] . 이제는 모던니즘(moderism)에서 가장 큰 관심과 중요 상황은 "경제"관련 정책이다. 분명한 증거는 2012년 12월 19일 대선후보들 모두 "경제민주화" 정책을 주장하고 있다. 경제민주화 중요성및 필요성은 실천력과 함께 뚜거운 이슈와 큰 관심시 이다. 관건아다. 누가? 어떤 후보가 그 실천력을 .. 2012. 10. 13. 2012 대선 상담학으로 본 정치평론. 상담학으로 본 2012년 대선 후보들의 청치왈: 아무리 리더가 휼륭해도 국민의 대다수 지지를 받아도 또 다시 정치비리나 불럽으로 역행되고, 국민을 실망하게 된다면, 다음엔 부스러기도 주어먹을 수도, 썩은 동아밧줄도 잡을 수 없을 것이다. 국민들의 정치 판단 수준이 조금 다른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어떻게 보면 "이대로는 안되겠다." "더 이상 두고는 못보겠다." 는 속내가 대단한 국민성을 소유하였다 말이다. 아울러, 이는 정치인 스스로가 잘 알고 있는 것이다. 이번 18대 선거에서도 그것을 보연 준 것이다. 첫째 :모범적이지 못한 정치인은 국회(정치)에 보내지 않겠다는 것이다. 둘째 :그 누구든 불법적인 일을 자행하고도 일반 국민들이 느끼지 못하는 또는 설득할 수 없는 것이라면, 정 치판을 떠나야 한다는.. 2012. 9. 4. 밀레미엄 국력을 위한 삼국지 세계는 '경제성장'을 그 어느 정책의 목표보다 우선시하고 중요하게 정책을 펴고 있다. 경제의 부흥은 곧 복지국가건설이다. 풀어서 설명한다면, 좁게는 국민이 잘사는 나라, 넓게는 국민의 삶의 질적수준을 높이는 국가를 복지국가건설이라 말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정치구도가 '당' '.. 2012. 4. 26. 이전 1 2 3 4 다음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