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안전관리자3

2022~2023년/통계로 보는 산업재해 (안전사고/직업병 포함) “건강검진의 주기(사무직 2년에 1회, 비사무직 연 1회)를 고려하여 최근 2년간 건강검진 참여 실태를 조사한 결과 300인 이상이 97.7%, 50∼299인 93.9%, 5∼49인 92.2%, 5인 미만 79.3%가 건강 검진에 참여한 것으로 응답하여 5인 미만 사업장에서 건강 검진 참여율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설문자의 인적 요인을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른 검진 참여율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남성94.2%, 여성 91.8%), 연령이 젊고(39세 미만), 근속연수(4년 이하)와 직위가 낮을수록 검진에 참여하는 비율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산업안전보건공단 근로자 건강검진 실태조사/산재예방 브리프 제25호. 중).  최근  Y대학병원 헬스케어(검강검진 상담소)를 통한 각종 암 환자(특히,유방.. 2024. 8. 28.
- 겨울철 산업재해 예방 교육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kosha.or.kr)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중대재해 감축으로 안전하고 건강한 일터 행복한 대한민국을 만듭니다 일하는 모든 사람이 언제 어디서든 안전하고 건강할 권리를 누리는 대한민국 --> www.kosha.or.kr 산업재해 발생은 근로자 개인과 회사차원에서도 불행한 사고 이다. 특히, 사망사고의 산재 소식은 누구에게나 어느 회사나 고통을 받아야 합니다. 이 이미 실시되고 있어, 중소기업에서 사망사고가 발생하면, 회사는 큰 타격을 받게 됩니다. 몇년간 안전사고에 대한 상담과 교육을 해온 경험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시즌(계절)을 떠나서, 안전에 대한 의식수준을 높이것과, 회사 경영자가 직접 수시로 회사 전반적인 상황을 파악하고, 안전의식과 산재 예방에 대한 시설물, 작업환경,업무량.. 2023. 12. 28.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법정교육(장애인 인시개선 교육과 장애인차별금지법) 과 중대재해법(대통령령 <직업상 질병자>)관해서. 만약 실시하지 않거나, 관련 서류를 배치하지 않는다면 .(교육 후 직원 서명을 받아서 철해주어야 함) 이 교육(법정의무5대교육)&(산업안전보건교육)을 실시하지 않으면, 사업주는 과태료(500만원) 내야하고, 해당 노동청 조사도 받게된다. 이 법정5대의무 교육은 매년1회 실시해야하고,산업안전보건교육은 월1회 전직원(신입직원시 안전교육은 별도)을 상대로 해야 한다. 특히, 법정의무5대교육은 전문 강사를 통한 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강사를 선정해야 하고, "장애인인식교육"은 장애인고용공단에서 강사교육을 이수한 자격에게 직원교육을 받아야 한다.!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장애란?】 심리적, 정신적, 지적, 인지적, 발달적 혹은 감각적으로 신체적 기능이나 구조에 문제가 있어, 활동을 하는 데 한계가 있거.. 2023. 12. 14.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