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있는 척, 배운척,성공한척,능력있는 척=> 내적문제의 원인/건강한 사회발전을 위한 코너

상담심리의 발전과 프로이드 심리학

by Louis911 2011. 1. 7.
728x90
반응형
SMALL

 

 

 (This group of Pittsburg State University students provide a   

  student perspective to campus visitors during tours of campus.) 

 우리네 청소년들은 어떤 면에서 보면 측은하기 짝이없다.'부모의 성공을 위한 대리만족의 대상인가 싶고' 자기의 꿈을 잃고, 다른 꿈을 이루어주는 대리자인것같기도 하고, 청소년란 무엇인가? 명랑하고, 활기차고, 꿈을 향해 비상하는 젊은이들 아닌가? 특히, 환경적으로 불우한 청소년의 상담의 실제에 들어가면, 놀라운일이 한, 두가지가 아니다. 힘차게 자신의 꿈을 위해 노력하고, 문제를 만나면, 상담교사를 찾아 모든 것을 의논하고 대화하는 미국의 초중고 학교들이 부럽다.

 상담교사가 상주해있어야 함은 이미 제언한 바있다. 다만, 청소년 문제로 아파하는 가족들과 당사자 그리고 구체적으로 도울 수 없는 현실에 다시한번 나는 글을 정리해본다.

 

  "청소년들이여 아들과 딸들이니 어찌 사랑하지 않을 수 있으랴" 

 

 

 

 

 (University of Washington's Jake Locker throws an interception to Oregon's Javes Lewis in the endzone after they went for it on 4th down at Husky Stadium, in Seattle, Wash.., Oct. 24, 2009. Thomas Boyd/The Oregonian.)

 

 

(University of Washington Women's Tennis)

 

1. 청소년의 특징을 고려한 상담방법.

첫째: 청소년 상담 상담은 반복적인 상담이 중요하다. 일회적인 상담이거나, 상담자가 의도적으로 속행으로 상담을 진행하고 결론 내려는 자세는 버려야 한다.

둘째: 청소년 상담은 이성적으로나 감정적으로 예민한 내담자들이므로 상담 용어에 대해서도 상 담자는 주의를 기울려야 한다. 학생들이라고 다리하나 건너 알고 있는 학생이라고 말을 함부로 하게 되면 상담진행에 많은 저항을 만나게 된다.

셋째: 청소년 상담은 상담자가 인내를 가지고 다양한 기법보다도 사랑과 격려로 청소년들의 마 음을 헤아려야 한다. 시간 약속, 상담진행시 함부로 하는 태도와 자세, 청소년만이 사용 하는 언어사용등에서 상담자는 외소 한 느낌을 받을 수 있으나 그들의 자유분방한 스타일 을 인정하고 대수롭지 않다는 마음 자세를 가져야 한다.

넷째: 폭력적인 사고에 대한 상담이 대부분을 이룸으로 청소년들의 사고와 행동에 대한 특징들 을 미리 인지해야 한다. 가정, 학교, 그리고 사회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청소년 폭력은 상 담실에서도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처음 상담에 응하는 경우)

다섯째: 가해자와 피해자가 있지만 상호 협력과 이해와 용서가 어려운 것이 청소년 상담이다. 그러므로 상담자는 다른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담자 자신이 문제를 해결시키려는 것보다 문제의 상황을 객관적으로 혹은 법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을 하고 깨달도록 조언 을 해주어야 한다. 이것이 청소년 상담의 일차적 목적이 될 수 있다.

여섯째: 개인적인 문제로 청소년을 대상으로 상담할 때는 그들의 상황을 잘 파악하고(사전에 신상이나 가정환경,성격,학교생활등에 대한 정보알기) 그들의 입장에서 내담자자신이 변화하여 문제의 인식을 새롭게 파악하려는 의도와 마음가짐이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출처:여주시민신문)

 

      (출처:연합뉴스 연고체육대회2008.09.05 13:28 )

 

2.청소년의 특징

 청소년 기본법 제3조에 따르면 “청소년은 9세 이상 24세 이하의 자를 말 한다”고 되어있다. 민법에서는 만 20세 이상을 성년으로 보기 때문에 청소년은 20세 미만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는 상식적 수준에서 사춘기인 11~13세에서 성인진입기인 19세까지의 인생의 한 성장기를 거치며 생활하는 사람을 총칭하여 ‘청소년’이라 보고 있다.

청소년기는 자아개념이 형성되는 시기이다.

게리 채프먼(Gary Chapman)은 미국의 십대를 말하면서 그들은 첨단 과학의 발달기술,폭력에 대한 지식과 노출, 성에 대한 지식과 노출, 해체된 가정,등이 십대들에게 영향을 미친다고 말하고 있다. 특히 폭력과 성 체험, 그리고 가정의 불안요인은 십대들에게 감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말 한다.

폭력에 대해서는 십대들은 폭력적인 인간행동을 배우게 되는데, 이것은 발달하는 과학과 폭력이 대중매체를 통하여 십대들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고 했다. 1999년 십대 10명중 8명.즉 78%가“폭력 영화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보는 것이 문제 될 것이 없다”고 갤럽 조사에응했다. 하지만 같은 십대 가운데 53%가 “ 텔레비전과 영화에서의 폭력이 젊은이들에게 그릇된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는 것에 동의 했다. 조사에 응한 십대 가운데 65%가 “텔레비전은 오늘날 젊은 이들의 미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고 하고 매년 미국에서는 23,000명이 살해되는데 이런 살인율의 가해자 아운데 25%가 21세 이하의 젊은이들이라고 F.B.I(Federal Bureau of Investigation)에서 보고했다. 십대들은 이것을 감정적.지식적으로 받아들인다고 지적했다.

십대의 성(Sex)에 대해서도 채프먼은 십대들의 주변 환경이 “성적인 환경”이라고 지적하고 미국의 십대들은 고등학교를 졸업하기 전에 70~80%가 성적인 경험을 한다고 했다. 가정의 불안 요인은 미국의 십대10명 가운데 4명이 한쪽 부모와 살고 있으며, 그 가운데 약 80%가 아버지 없는 가정에서 자라고 있다.고 말 한다.

청소년 발달과정에서의 긍정적인 경험은 자신감을 갖게 하고, 부정적인 경험은 부정적인 자아성을 만든다.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가졌을 때는 행동에 안정감과 자신감이 있는 반면에 부정적인 자아개념을 가졌을 때는 자존심도 상하고 사회적인 접촉을 피하고자 한다.

자아개념은 학문적 자아개념, 정서적 자아개념, 신체적 자아개념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청소년들이 성취감을 맛볼 수 있는 영역이 제한되어 있다. 청소년기 이르러서 자신의 자아개념을 형성하는데 그 평가기준이 부모에서 교사 그리고 친구로 바뀐다.

청소년기에는 가치관으로 고민하기 시작한다.

청소년기의 반항성은 성인들로부터 자신의 가치체계나 행동을 수용 ․ 인정받지 못하고 거부당함으로써 생겨나는 저항의 표현인 것이다. 초등학교 때는 부모와 교사의 말을 그래도 따르지만 사춘기 때부터는 이유를 달기 시작하고 말대꾸를 시작한다. 강요 ․ 강압을 싫어하고 무조건적인 복종을 하지 않으며 어른들의 행동에 대해서 나름대로 판단을 하기 때문에 종종 기성세대와 충돌을 일으킨다. 기성세대가 자신의 가치에 맞지 않은 관습 ․ 가치 ․ 제도 등을 강요할 때 청소년들은 자기만의 세계를 찾아 같은 생각을 가진 또래집단으로의 소속이나 가출 같은 일탈로 발전하기 쉽다.

이때를 ‘이유 없는 반항기’라고 생각하지 말고 정신적인 홀로서기의 과정으로 이해해 준다면 청소년들이 서서히 합리적인 판단능력을 갖추게 될 것 이다.

청소년 때에는 절제력이 약하여 모방성이 강한 시기이다. 그래서 청소년들은 유행을 잘 타고 매스 미디어(mass media)을 통한 모방이나 연애인들을 따라 모방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절제력이 약한 나머지 하고자 하는 욕망이나 심한 경우 교육적인 훈계에 대해서도 쉽게 자존심 상해하게 느끼고 ‘분노’를 유발 한다.

남아프리카 신학대학장인 던컨 부캐넌(Duncan Buchanan)는 “사람에게 있어서 분노는 일반적인 것이다. 분노는 한 표현이고 그 표현이 폭력으로 나타난다.” 인격이 성숙되지 않은 청소년들은 이 분노를 차지 못하고 더욱 다양한 그들만의 방법으로 발산하고 있다. 이것이 그들의 내적인 특성이기도 하다.

 

3.상담심리의 발달과 프로이드 심리학

A)Sigmund. Freud(1856.5.6-1939.9.23)정신분석적-치료

(The Psychoanalytic-Theory)

 일반적인 상담요법은 정신분석을 일컬어 말한다. 역사적으로 최초의 심리요법체계인 정신분석학은 성격론이며,철학적 체계이며, 심리요법의 한 방법이다. 이러한 정신분석요법은 프로이드(Sigmund. Freud)1896년도에 최초로 사용 했다.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이 공헌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 핵심적인 하나는 “인간의 행동은 종종 무의식적 요인에 의해 지배된다.”는 것과 정신분석학 접근은 저항, 감정의전의.분석을 통하여 무의식을 개발하는 방법을 제공하였다는 것이다. 특히 프로이드의 개인의 구조를 원시자아(Id:이드),자아(Ego:이고),초자아(Superego)부분으로 나누어 의식과 무의식의 세계를 개인의 사고와 행동에 미친다는 정신분석적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이것이 프로이드의 큰 공헌이라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프로이드는 개인의 발달과정을 구순기(출생1년)-> 항문기(생후1-3년)->남근기(3-5년)과정으로 발달한다고 주장하고,이는 상담자가 내담자의 깊은 내적인 문제를 다루기 위해서는 중용한 요소라고 주장한다.

1)구순기:유아 1년까지는 모유를 빠는 것으로 욕구와 쾌락을 만족하는 시기.

탐욕과 욕망,욕심등은 생애 초기인 이 구순기에 충분한 모유수유와 음식과 사랑 을 얻지 못하는데서 발생한다는 심리적 접근(Approach) 이다. 이시기는 발달하느 냐 부족하냐에 따라서 신뢰감, 대인관계, 등의 심리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2)항문기:유아1년~3년의시기로 사람에 대한 신뢰감,의존감, 사회와 대인에 대한 친숙과 수용성을 경험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이 단계에서는 인간달발이라는 시기에서 개인의 독립성,자율성,그리고 부정적인 감정을 인정 및 처리하는 것을 배우게 된다.

항문기 시기는 어린이가 적대감, 파괴성,분노,증오,등의 부정적인 감정들을 확인하는 시기이다. 반복적일 경우 이 모든 것을 답습하게 된다.

3)남근기:생후3~5년 때인 항문기 시기는 유아 상태를 벗어나는 시기이고 다음단계인 남근 기 시기는 보행, 언행,사고력,신체발달에 의한 조절능력이 급속히 발달하는 과정 이다. 그리고 판단의 능력과 조절의 능력이 발달하는 시기이다. 그러므로 이시기 는 감수성의 발달로 예민성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이시기는 성적 호기심이 일어나고 자신의 몸과 타인의 몸을 탐색하기도 한다. 그래서 이시기는 성적인 감정을 자연스레 수용할 수 있는 자세와 자신은 물론 남과 다른 신체의 대해서 긍정적인 사고를 갖도록 하는 노력이 중요하다.

정신분석적 상담치료는 내담자가 자신의 감정이나 경험을 거의 나누지 않기 때문에 주로 내담자가 정신분석가에게 감정이나 생각을 투영시킨다. 치료를 위한 자료가 되는 내담자의 투영되어진 것을 해석 분석된다. 프로이드 심리학은 후반에서 다시 다루기로 하겠다.

B)Carl Gustav jung 의 성격유형론(1875 1961 스위스의 정신과 의사이자 분석심리학의 창 시자 융은 1875년 스위스 산간지방인 케스빌에서 목사 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취리히대학교 부설 정신병원에서 일 하면서 단어연상검사를 연구함.)

융은 사람은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모든 사람은 4가지 기능을 갖는다고 말한다.

1)사고형:논리적이며 객관적인 성격형

2)감정형:자기 주관으로 이성보다 감정적인 주관적 성격형.

3)감각형:육감적인 감각으로 모든 상황을 판단하는 성격형.

4)직관형:모든 상황을 가능성으로 보고 그 상황을 민감하게 판단한다.

이를 다르게 분석하면

1)외향성&내향성:이는 주로 외부세계와 외부환경에 초점을 두는 경향.(활동적,사고적)

(행동방향) 내향성:이는 자신의 내부세계와 내부개념으로 사물을 인식하는 성향.(침 착,이해성 강함)

2)감각형&직관형:오관에 의존하고 정보를 수집,(상황판단에 침착, 근면성실)

(분석형태) 직관형:육감에 의해 사물판단.(상상력 풍부, 다양성으로 분별,)

3)사고형&감정형:사고형은 판단할 때 사고와 논리적으로 개관적 가치를 둠으로 일관성과 (판단형)타당성을 강조, 감정형은 인간 중심에 가치를 두고 결정을 내림,주관적 가치와 자신의 판단기준으로 타인에게 어떤 영향을 줄것인가를 판단함.

4)판단형&인식형:외부세계에 대한 인식과 판단을 내리는 지표로 개인의 생활, 행동양식에 (태도와 행동양식)영향을 준다. 판단형은 계획을 수립,생활을 조절하며, 질서 있게 살아감, 감, 인식형, 상황에 맞추어 융통성 있게 생활.

이러한 정신분석적 심리치료는 내담자의 무의식을 의식화함으로 내담자의 성장과정의 특성과 또는 성격구조를 재 형성시켜 과거의 개인이 현재의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 등을 분석, 문제를 판단 해결하게 된다.

특히, 상담자는 내담자가 느끼고,판단하고 있는 것과 상담중 얼마나 진실한 고백을 하는가,그리고 상담자가 판단하기로 얼마나 내담자가 현실적인 것을 말하는가 등을 다루고, 비이성적인 행동 과 충동적인 행동과 말에 대해서 통제하도록 조력하게 된다.

그러므로 정신분석적 심리치료는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고 판단하는 유형이요 방법이다.

C)실존주의 치료(The Existentialism-Theory)

실존주의 요법,(정신분석학과 행동주의에 반동으로 발달)내담자 중심요법(인간경험의 주관식 관점에 근거를 둔 것으로, 문제를 다루는데 있어서 내담에게 신뢰를 두고 책임감을 부여 한다.)

이것은 기술적으로 인간을 분석,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근본적인 인간이해에 초점을 둔다. 그래서 실존주의법은 인간이 스스로 판단하고 결단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개인의 자아의 능력을 인정한다. 치료의 목표에서는 무엇보다도 자신의 존재와 잠재력을 자각하고 경험하는데 있다. 그로인해 내담자가 선택의 폭을 넓게 하고 자신이 경험하지 못한 부분까지 인정할 수 있도록 한다.

내담자가 갖는 불안요인에 대해서도 선택의 폭을 증가시켜 현실을 인정하도록 한다.

D)칼 로저스(Carl Rogers)의 내담자중심 치료(The Client-Centered-Theory)

이는 상담자가 내담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자신의 능력을 발견하도록 도움을 주고, 한 개인이 스스로 성장하도록 정신분석적인 치료의 한계(정신분석학적으로 내담자를 치료할 때 인간의 개인적인 문제의 특수성을 어느 미리 준비된 자료에 의하거나 통계된 자료에 문제를 맞히려는 상담자의 의도적 행위 등)를 대치하기위한 반응이라 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상담자와 내담자의 신뢰는 물론 내담자의 변화를 치료의 촉매로 본다. 물론 인간의 무의식을 적용하는 정신분석학 자료 할용은 내담자의 잠재적 능력을 개발, 실천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로저스의 내담자 중심의 심리치료법은 완성이거나, 무조건 사용해야한다는 차원보다.치료과정의 한 발전단계에서의 사용을 원했다.

이 요법은 개인 상담은 물론 교육, 사업, 공업, 국제관계에서도 집단상담의 운동에 큰 공헌을 하기도 했다.

이 요법의 중요성은 상담자가 내담자 경험과 감정을 민감하게 그리고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다. 이것은 치료기간 중 내내 발생할 수 있는 내담자의 감정적 부분을 상담의 목표에 내담자가 스스로 공감을 가지고 문제를 인식시키고, 해결하기 위해서 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내담자와 상담자는 공감을 커지게 되고 치료의 효과를 높이게 된다.

이외에, 형태요법(주로 경험 요법은 자각과 통합을 강조하는 것으로 분석요법에 대한 반동으로 생겨났다. 육체와 정신기능을 총합 한다.),의사교류분석요법(현대인의 유형으로서 인지적, 행도적인 국면에 기울러지고 있는 경향이 있다. 내담자를 도와 현재에 비추어 그들의 결정을 평가 한다.)행동요법(학습원리를 특별한 행동자애 해결에 적용하는 것으로 결과들은 계속적으로 실험을 한다. 합리적 정서요법(고도의 교휸적,인지적, 행동지향적인 요법 유형으로 인간문제의 근원으로서 사고와 신념체계의 역할을 강조 함.),현실요법(인습적 요법에 대한 반동으로 현재에 초점을 둔 단기요법이며 안간의 본질적 능력을 강조 한다.이러한 요법이 심리요법의 종류이다. 또한 신 정신분석학파로 융(Carl Jung)이 있다. 융은 프로이드의 영향을 받아 프로이드의 기초위에 인간의 발달에 목적성의 역할을 강조했다. 인간은 이유(causes) 또는 목적(aims)에 의해서 생을 영위 한다.는 것이다.

대표 인물들을 살펴보면 정신분석학적 요법(Psychoanalytic Therapy:Freud,Jung

실존-인간주의 요(Existential Humanistic:May,Maslow,Frankl

내담자중심 요법(Client-Centered):Carl Rogers.

형태요법(Gestalt Therapy): Fritz Perls.

의사교류분석(Transactional Analysis):Eric Berne.

행동요법(Behavior Therapy):wolpe, Lazarus.

합리적 요법(Rational-Emotive):Albert Ellis.

현실요법(Reality Therapy):William Glasser.

정신분석 심리치료는 정신적이고 감정적인 고통을 덜어주기 위한 치료입니다. 그것은 말로 하는 치료법입니다. 그것은 또한 인간이 참다운 자기를 발견해 가는 방법이며 동시에 인간 행동에 관한 일반적인 연구방법이기도 합니다.

정신분석 심리치료는 우리의 행동과 생각과 태도의 많은 부분들이 의식의 통제 아래 있지 않고, 무의식에 의해 통제되고 있다c 생각에 기초해 있습니다. 정신분석 심리치료 가는 환자에게 말을 하게 함으로써, 그의 무의식적인 욕구들, 동기들, 소망들, 기억들을 밝혀내는 것을 돕습니다. 이러한 치료 형태는 금세기 초에 프로이드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그 후로 많은 정신분석학자들은 프로이드의 작업을 확장 시켰고, 치료할 수 있는 병의 범위를 넓혀갔습니다. 또한 새로운 치료 기술들과 인간 행동에 대한 통찰들이 발달되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